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음병31

[상한론 송본 314-5] 백통탕을 사용하는 소음병 설사의 증치 314.少陰病, 下利, 白通湯主之. 해석 소음병 환자의 설사에는 백통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314의 조문 역시 313조와 마찬가지로 설사 이외의 다른 증상 설명이 없어 처방의 구성을 보고 짐작해야 합니다. 백통탕의 구성은 총백, 건강, 부자 입니다. 이 구성은 처방이 양기를 보충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환자의 설사가 허한하리(虛寒下利)라는 것을 짐작하게 해줍니다. 소음병 환자에서 발생한 양허(陽虛)이므로 중초의 비(脾)와 소음경의 심신(心腎)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양허이므로 보통의 경우라면 오한감, 사지의 궐냉이 동반될 것입니다. 또한 신양(腎陽)의 손상으로 인한 경우라면 하초에서는 음기가 왕성하고, 상초로 양기가 몰려나있을 수 있어, 허양(虛陽) 혹은 허열(虛熱.. 2017. 8. 30.
[상한론 송본 312-3] 인두부의 통증을 동반한 소음병 환자의 증치 312.少陰病, 咽中傷, 生瘡, 不能語言, 聲不出者, 苦酒湯主之. 해석 소음병 환자의 인두부에 손상이 있어 헐어있는 상태로 말을 할 수 없고 소리가 나오지 않는다면 고주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312조의 인두부 손상은 가시를 삼키는 등의 직접적인 자상이나 뜨거운 음식으로 인한 화상 혹은 열사(熱邪)로 인해 발생한 경우 등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헐어있는 증상으로 볼 때 열성 증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소음병 환자이기 때문에 열사(熱邪)가 직접적으로 치성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음화(陰火)가 치성하여 열독을 형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음화는 음기 혹은 진액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허열(虛熱)을 의미합니다. 열성의 손상이므로 통증이 비교적 강하고 인두부가 붉은 부종이 있을 수 있으.. 2017. 8. 30.
[상한론 송본 309] 번조 증상이 동반되는 소음병의 치료 309.少陰病, 吐利, 手足逆冷, 煩躁欲死者, 吳茱萸湯主之. 해석 소음병 환자가 구토와 설사를 보이며 손발이 역냉(逆冷)하며 심번조요하여 죽을 것 같이 괴로운 경우 오수유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소음병에서 중초의 허한으로 인해 소화기계의 기능이 저하되고 내려가야 할 탁음(濁飮)이 오히려 위로 넘치게 되면 중초에 담음 혹은 정음 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안 그래도 양기의 부족으로 중초에서 승강(升降) 기능이 약해진 상황에서 순환을 막는 덩어리가 추가되니 더욱 약해집니다. 이렇게 위 아래로 제대로 된 기운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내려갈 것이 못 내려가 구토를, 올라갈 것이 못 올라가 설사를 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시간이 갈수록 세력이 커지는 음한사(陰寒邪)는 양기가 뻗어나오지 못하게 막게 됩니다. .. 2017. 8. 29.
[상한론 송본 306] 농혈변을 보는 소음병의 치료 306.少陰病, 下利便膿血者, 桃花湯主之 해석 소음병 환자가 설사를 하고 대변에 농혈이 섞여 있다면 도화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소음병에서 소음심경(少陰心經)의 양기가 부족해지면 오행 상생상극 원칙에 의해 화기(火氣)가 토기(土氣)를 따뜻하게 데워주지 못합니다. 이는 곧 중초에서 소화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설사가 발생하고, 설사가 멎지 않고 오래 지속된다면 진액 및 음혈의 손상으로 이어지며 결국은 혈분(血分)에 까지 영향을 줍니다. 그 영향으로 발생하는 증상이 농혈변입니다. 이러한 경우 현대의 이질성 장출혈과 양상이 유사합니다. 또한 한의학에서 혈변의 경우 한열(寒熱)에 따라 달라집니다. 306조의 경우는 양기가 손상을 받아 소화기능이 떨어져 발생한 설사로 진액 손상.. 2017. 8.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