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승기탕24

[상한론 송본 253-5] 대승기탕의 적응증 253.陽明病, 發熱汗多者, 急下之, 宜大承氣湯. 해석 양명병 환자에게서 발열 증상과 함께 땀이 많이 난다면 급히 하법을 사용해야 하니 대승기탕이 마땅하다. 사견 및 풀이 발열이 나타나는 것은 양명리열(陽明裏熱)의 항성(亢盛)이 있음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입니다. 대변을 보지 못하고 복부가 그득하며 만지면 통증이 발생하는 등의 증상도 동반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땀이 많이 배출된다는 것은 진액이 소모되고 음혈이 손상을 받게 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는 조열(燥熱)을 심화시키고 양명리열이 더욱 강해지게 합니다. 즉, 발열과 다량의 땀은 서로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악순환이 이어진다면 간신(肝腎)의 진음(眞陰)도 손상되어 심각한 상태에 이를 수 있습니다. 254.發汗不.. 2017. 8. 17.
[상한론 송본 251] 대/소승기탕의 사용법과 감별요점 251.得病二三日, 脈弱, 無太陽, 柴胡證, 煩躁, 心下硬. 至四五日, 雖能食, 以小承氣湯, 少少與微和之, 令小安. 至六日, 與承氣湯一升. 若不大便六七日, 小便少者, 雖不能食, 但初頭硬, 後必溏, 未定成硬, 攻之必溏; 須小便利, 屎定硬, 乃可攻之, 宜大承氣湯. 해석 병을 앓은지 2-3일에 맥상은 약하고 태양증이나 시호탕증은 보이지 않으면서 심번조요하며 심하부가 굳어있다. 4-5일 째에 식사를 할 수 있으면 소승기탕을 조금씩 복용시킬 수 있고, 위기를 조화시켜 조금이나마 편안해지게 할 수 있다. 6일째에 소승기탕을 다시 1승을 준다. 만약 6-7일이 되도록 대변을 보지 못하고 소변의 양도 줄어든 상황에서 비록 식사를 하지 못하더라도 대변은 첫 머리만 단단하고 그 뒤로는 무르게 나온다면 완전히 굳지 않은 것.. 2017. 8. 17.
[상한론 송본 252] 양명조열에 의한 진액손상을 막아야 하는 경우 252.傷寒六七日, 日中不了了, 睛不和, 無表裏證, 大便難, 身微熱者, 此爲實也, 急下之, 宜大承氣湯. 해석 외감병을 앓은지 6-7일이 경과된 뒤 시야가 또렷하게 보이지 않고 안구의 운동이 원활하지 못하며 표증이나 리증이 겉으로 보이지 않는 환자에서 대변을 보기 어렵고 몸에 약간 열이 난다면 이는 리실증으로 볼 수 있다. 급히 하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대승기탕이 적합하다. 사견 및 풀이 표증, 리증이 모두 없다는 표현은 전형적인 증상이 없다는 의미로 한 눈에 보기에 표증이다, 리증이다 판단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대변을 보기 어렵고 표면에 약한 열이 나는 증상으로 양명열로 인한 리실(裏實)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양명병의 조열(燥熱)은 간신음(肝腎陰)을 손상시키므로 눈과 관련한 증상이 .. 2017. 8. 17.
[상한론 송본 242] 대변이 사난사이(乍難乍易)한 조시내결 242.病人小便不利, 大便乍難乍易, 時有微熱, 喘冒不能臥者, 有燥屎也, 宜大承氣湯. 해석 환자의 소변이 잘 안 나오면서 대변이 때로는 보기 어렵고 때로는 보기 쉬운데 때때로 경미한 발열 증상이 있으며 숨이 차고 어지러워 누워있을 수 없는 경우라면 조시가 있는 것이니 대승기탕을 복용함이 마땅하다. 사견 및 풀이 환자의 대변 양상을 보아 조결(燥結)이 심하지 않아 보입니다. 그렇기에 실(實)의 상태까지 이르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뒤에 나타나는 증상들과 종합하면 조시(燥屎)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조시가 위가(胃家) 내에 자리하고 있는다면 기의 순환 및 상하로의 승강이 어려워집니다. 그렇기에 승청강탁(升淸降濁)이 잘 이루어지지 못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몸에 여러 문제를 야기합니다. .. 2017. 8.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