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43

2. 태양중풍(太陽中風)이란 2. 太陽病, 發熱, 汗出, 惡風, 脈緩者, 名爲中風. 해석 - 태양병의 한 분류로 발열, 한출, 오풍, 완맥을 나타내는 것을 중풍이라 명한다. 사견 및 풀이 - 태양병의 분류 각 특징에 따라 중풍, 상한, 온병으로 나뉩니다. 상한과 온병은 뒤 어딘가의 조문에 등장합니다. - 증상들 이 조문에서의 발열은 위기(衛氣)와 외부의 풍한사기(風寒邪氣)가 표부에서 만나 서로 투쟁을 하면서 발생하는 병리현상이라 봅니다. 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체표 혹은 체외에 있으므로 손으로 촉진을 하고 있으면 열이 약해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땀이 나는 것은 위기의 고유기능 중 하나인 고표기능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1번 조문에서와 같이 외부의 사기와 다투고 있기에 본래 기능에 소홀해지기 때문입니다. 오풍은 오한과 유사한.. 2017. 5. 29.
17 -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 PNH)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은 적혈구 막에 있는 anchored protein을 발현시키는 유전자에 후천적으로 이상이 생기는 것이 원인입니다. 이러한 유전적 이상은 anchored protein이 없는 적혈구계 조혈모세포를 생성하게 됩니다. anchored protein : 막을 통과하여 위치하는 단백질로 보체의 활성을 억제해주는 단백질 외에 여러 가지 물질들과 결합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anchored protein이 결핍된 적혈구는 활성화된 보체의 침습을 막을 수 없게됩니다. 보체 : 그 활성화에 따라 여러 가지 생물활성을 발휘하지만 생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은 이물질이나 침입미생물, 이물질항원, 면역복합체, 바이러스 감염세포, 암화세포 등에 이것을 “이물질”이라는 표적으로 정의하는 것입니다. 두번째 역할.. 2017. 5. 25.
16 - 유전성 구형적혈구증 (hereditary spherocytosis ; HS) 유전성 구형적혈구증은 적혈구가 빵빵하게 부풀고 구형의 모양을 보이게 됩니다. (정상인 경우는 전체적으로 납작하며 가운데가 얇고 붉은 색이 없습니다.) 유전성 구형적혈구증은 선천성 용혈빈혈 중 가장 빈발합니다. 이러한 질환의 원인은 적혈구 막을 유지시키는 단백질의 선천적인 이상입니다. 적혈구의 모양 변형은 비장에서 정상이 아닌 적혈구로 판단되어 대식세포에 탐식됩니다. 즉, 혈관외용혈을 일으키고 비장비대를 보입니다. 그 외에도 빈혈과 황달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검사 적혈구의 삼투압 저항력 저하 자가용혈검사 양성 포도당 첨가 시 용혈의 저하 구형적혈구는 부풀어있는 구형으로 정상적인 적혈구보다 내부에 공간적인 여유가 적습니다. 즉, 삼투압이 낮은 환경에서 소량의 물이 내부로 흡수되면 버티지 못하고 용혈되어 버리.. 2017. 5. 25.
1. 태양병(太陽病)이란 1. 太陽之爲病, 脈浮, 頭項强痛而惡寒. 해석 - 태양병은 맥이 부맥이고 두통과 항강, 오한을 동반하는 것이다. 사견 및 풀이 - 태양병이 왜 태양병일까? 전부터 태양, 양명, 소양, 태음, 소음, 궐음으로 나뉘는 6경이 있습니다. 이 중 태양이 우리 인체의 가장 표부을 담당하고 있고 때문에 이름 붙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고유명사라고 보고 이해해도 크게 이상하지는 않습니다. 인체 표부을 담당하고 있고 가장 첫 문장에 나온 만큼 외부 사기에 의해 가장 먼저 침범당하는 부분이 태양입니다. - 부맥이 의미하는 것은? (맥을 잡는 방법은 활자로 설명할 수 없기도 하거니와 저는 그 정도의 실력에 미치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앞으로 등장하는 많은 맥들은 의미에만 집중하도록 하겠습니다.) 부맥은 가볍게 눌러도 .. 2017. 5.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