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론]/大塚敬節

상한론 大塚敬節 소음병편 158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8. 1. 26.
반응형

158.
少陰病, 飮食入口則吐, 心中溫溫欲吐, 復不能吐, 始得之, 手足寒, 脈弦遲者, 不可下也.
若膈上有寒飮, 乾嘔者, 不可吐也.
當溫之, 宜回逆湯.




해석 


 少陰病 환자가 음식을 입에 넣자마자 토하고 심장이 있는 부위에서 울렁거려 토하고 싶지만 토를 할 수 없다. 처음 병이 걸렸을 때 손발이 차고 脈象이 弦遲한 경우라면 攻下法을 사용할 수 없다.


 만약 胸膈의 위에 寒飮이 있어 마른 嘔吐를 한다면 涌吐法을 사용할 수 없다.


 마땅히 따뜻하게 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回逆湯이 마땅하다.




사견 및 풀이 


 158장에서는 涌吐法을 사용해야 할 경우와 溫法을 사용해야 할 경우를 나누고 있습니다.


 음식물을 먹으면 바로 토하지만 먹지 않으면 토를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경우 胸中에 寒飮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涌吐法을 사용해야 합니다. 만일 涌吐法을 사용한다면 瓜蒂散 등을 응용할 수 있습니다.


 구토의 양상이 그렇지 아니하고 헛구역질만 하는 경우라면 涌吐法을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寒飮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이므로 回逆湯을 이용하여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 참고서적 : 大塚敬節 저, 박병희 역(2004). 임상응용 상한론해설. 의방출판사.

※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

※ 개인적인 이해를 위한 의견이 포함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음을 고지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