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론]/송본

[상한론 송본 324] 흉중실사(胸中實邪), 격상한음(膈上寒飮)의 증치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7. 9. 1.
반응형

324.

少陰病, 飮食入口則吐, 心中溫溫欲吐, 復不能吐, 始得之, 手足寒, 脈弦遲者, 此胸中實, 不可下也, 當吐之. 

若膈上有寒飮, 乾嘔者, 不可吐也, 當溫之, 宜四逆湯.




해석 


 소음병 환자가 음식을 먹으면 바로 토하고 심장부에 토하고 싶은데 잘 되지 않아 답답한 상태이다. 처음 병을 얻었을 때 손발이 차고 맥상이 현지한 경우는 흉중에 실사(實邪)가 있는 것이니 하법을 사용할 수 없고 응당히 토법을 사용해야 한다.

 만약 흉격 상부에 한음사가 있어 마른 거역질을 하는 경우 토법을 사용할 수 없고 마땅히 온법을 사용해야 하니 사역탕이 적절하다.




사견 및 풀이 


 조문 첫 부분의 먹으면 토하고 토하고 싶은 때에는 못하는 증상은 두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둘 수 있습니다. 소음병의 음한(陰寒)이 위로 역류하여 올라오는 경우가 그 첫 번째 입니다. 두 번째는 담실(痰實)이 흉격에 자리잡고 뭉쳐 있어 기운이 내려가는 것을 막고 있는 경우입니다.


 다음 부분에서 손발은 차지만 맥상이 미(微)하거나 욕절(欲絶)하지 않으니 소음허한증으로 보기는 어렵기에 위에서 본 두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손발이 찬 것은 양기가 사말로 닿지 않기 때문이며 맥상이 현지한 것은 사기가 뭉쳐 양기가 뻗어나가지 못하고 막혀있기 때문입니다.


 비신양허(脾腎陽虛)의 경우 정기를 만드는 기능이나 진액을 온 몸으로 퍼뜨리는 기능이 저하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진액이 한 곳에 고여 한음(寒飮)을 이루고 이러한 허한지기(虛寒之氣)가 위로 거슬러 올라가므로 마른 구역질 혹은 구토가 발생합니다.


 사역탕은 양허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처방입니다. 하지만 비신양허(脾腎陽虛)의 경우에 가장 적합한 처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일 환자에게서 비양허(脾陽虛)의 양상만 보인다면 이중탕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참고서적 : 안규석 외 16인 역(2008). 현대상한론. 한의문화사.

※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

※ 개인적인 이해를 위한 의견이 포함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음을 고지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