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43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와 그의 최후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는 너무나도 유명합니다. 책에서 다들 한 번 쯤은 읽어봤을 내용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 저는 정확하게 잘 몰랐기 때문에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의 어이없는 최후까지도 말이죠. 어느 날 시라쿠사의 왕인 히에론 2세가 주문했던 금관을 받은 뒤 궁금한 점이 생깁니다. " 이것이 정말 순금으로 만든 것이 맞는가? " 그래서 그는 아르키메데스에게 순금으로 만든 것이 맞는지 알아내라고 하죠. 하지만 녹이지 않고 알아낼 방법을 찾지 못했던 아르키메데스가 욕조에 물을 채우고 목욕을 하려고 발을 넣는 순간 방법을 깨닫습니다. 어떠한 용기에 물을 채우고 물체를 넣으면 그 부피만큼 물이 넘친다는 사실을 말이죠. 그래서 그는 유명한 한마디인 " 유레카 ! "를 외치며 밖으로 나갔다죠. 시행한 방법은.. 2016. 12. 15. 로마 최초의 포장도로, 아피아 가도 (Via Appia) 오늘도 차를 타고 운전을 할 일이 있었습니다. 시골이다 보니 포장 도로도 있고 비포장 도로도 있었죠. 비포장 도로를 달리는 데 차가 상할 것 같은 찜찜함이란. . . 자동차 오너이신 분들은 공감하실 겁니다 ^^ 지금도 이렇게 도로가 없으면 불편한데요. 고대 로마 시대에서도 마찬가지였다고 합니다. 로마 시대에는 비포장 길이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겨울에는 진흙이 들러붙고 여름에는 먼지가 많이 날리기 때문이었는데요. 제국 전체에 도로를 건설하기로 합니다. 전성기 로마의 도로는 전체 8만 킬로미터를 넘는 길이를 자랑하며 이는 지구 두 바퀴를 넘는 길이입니다. 이러한 긴 도로들 중 가장 먼저 설치된 도로는 무엇일까요? 기원전 312년 경 로마의 장군인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카에쿠스가 지시하여 건설된 도.. 2016. 12. 14. 정지하고 있지 않은 '정지 궤도 통신 위성' 우리 머리 위에 항상 떠있는 것이 있습니다. 그 위에서 전파를 받고, 반사시키고 우리의 전화, 방송, 일기예보 등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통신 위성 인데요. 다음은 통신 위성의 사전적 의미입니다. 대륙 간이나 원거리 사이의 전파 통신의 중계에 쓰는 인공위성. 지구에서 보내온 전파를 반사만 하는 수동 위성과, 받은 전파를 증폭하여서 다른 전파로 내보내는 능동 위성이 있다. 이번에 이야기 하고 싶은 내용은 역시나 위성의 원리나 위성의 구조 등 어려운 이야기가 아닙니다. '정지 궤도 위성'이라는 단어에 대해 말하려는 겁니다. 정지 궤도 위성은 우주에서 과연 정지해 있을까? No. 정지해 있지 않습니다. 정지 궤도라는 말은 궤도 위를 도는 인공위성이 지구에서 볼 때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기 .. 2016. 12. 14. 여름과 겨울의 두 얼굴, 몬순기후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라고 제가 어릴때 배웠습니다. 물론 점점 여름과 겨울만 뚜렷한 나라가 되어가고 있지만 말이죠. 봄과 가을은 점차 사라지는 듯 합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기후는 온대 몬순 기후에 속합니다. 이번에는 몬순 기후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몬순(monsoon)이란 계절에 따라 방향이 바뀌는 바람으로 겨울과 여름의 풍향이 거의 반대가 됩니다. 우리말로 하면 '계절풍'이며 아라비아어로는 계절을 뜻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몬순 기후는 열대 몬순 기후와 온대 몬순 기후로 나뉩니다. 열대 몬순 기후는 여름에는 바다에서 오는 습한 바람의 영향으로 우기가, 겨울에는 대륙에서 불어오는 건조한 바람의 영향으로 건기가 됩니다. 보통 인도나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 2016. 12. 13. 이전 1 ···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