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43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의 간단한 프로필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컴퓨터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을 읽고 있는 분들의 대부분도 컴퓨터로 읽고 계실텐데요. 이 모든 컴퓨터들의 조상은 누구나 알다시피 '에니악'입니다. 그 에니악에 대해 몇 줄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니악은 1946년에 미 육군의 탄도 계산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전자식 컴퓨터 입니다. 하지만 그 이름의 풀네임은 Electronic Numerical Integrator and Computer입니다. 우리 말로 하면 '전자식 숫자 적분기 및 계산기' 입니다.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컴퓨터가 아니라 계산기라는 겁니다. 계산 속도는 매우 빨라졌으나 부피가 너무나도 컸습니다. 에니악에는 17468개의 진공관이 사용되었고, 폭만 26미터, 높이는 2.5미터 무게가 3.. 2016. 12. 13.
전류 전쟁, 어떤 전쟁인가? 지금은 돼지코 콘센트에 플러그를 꼽으면 쉽게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전기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기가 각 집안으로 전달되기 시작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는데요. 그 시작 무렵에 전류 전쟁이 시작됩니다. 누가 전쟁을 일으켰는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이름의 두 사람에게서 의견 충돌이 있었습니다. 바로, 발명왕 '토마스 에디슨'과 위대한 전기기술자 '니콜라 테슬라'입니다. 전류 전쟁은 무엇인가? 1880년대 후반 에디슨은 송전시스템을 고안하여 각 가정으로 전기를 송전하고자 했습니다. 이 때 송전하는 방식에 있어 의견 차이가 발생한 것이죠. 에디슨은 직류(DC) 방식을, 테슬라는 교류(AC) 방식을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직류는 장거리 송전을 할 경우 에너지 손실을 감수할 수 밖에 없는 반면 교류는 장거리 송전.. 2016. 12. 12.
ABCD~ 알파벳의 이름은 어디서? 요즘은 영어를 기본적으로 잘 해야 하는 사회가 되었죠. ( 물론 저는 영어를 잘 못합니다. 하 하 ) 영어를 배울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게 뭘까요. 네, 맞습니다. 바로 A, B, C, D . . . 알파벳 입니다. 우리말을 배우기 위해 ㄱ, ㄴ, ㄷ 등의 자음, 모음을 배우는 것과 다르지 않죠. 하지만 '알파벳'이라는 이름은 어디에서 온 것일까요. 알파벳의 조상들은 아주 여러가지 입니다. 고대 가나안 언어에서 시작해서 북부 셈어로 발전되었으며, 여기서 헤브라이, 그리스, 로마, 아라비아, 인도 등등 여러 곳으로 퍼져 각자의 문자로 발전했습니다. 이 중 '알파벳'의 이름을 만들게 된 유래는 그리스에서 옵니다. 그리스어의 첫 두글자를 우리는 α, β로 표기합니다. 이 알파(Alpha)와 베타(Beta)를 .. 2016. 12. 12.
수학의 초창기 발전, 60진법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가장 열심해 공부했던 과목은 수학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과를 선택했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뭐 그 나름의 재미도 있었으니까요. ( 지금은 자연계라고 하나요 ㅋ 저도 이제 아재 ㅠ ) 지금은 일, 십, 백, 천, 만 . . . 단위들이 당연한 듯 생각되고 있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기원전 1800년 경의 바빌로니아에서는 말이죠. 바빌로니아에서는 상당히 발전된 수학 수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기하학, 대수학 등의 분야에서도 꾸준한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었죠. 점토로 만들어진 서판에 있는 건축과정을 보면 2차 방정식과 3차 방정식을 응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한 바빌로니아에서는 60진법을 사용했습니다. 한 단위가 넘어가기 위해서는 60을 채워야 하죠. 아라비아 .. 2016.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