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론]/의문췌언 입문편

태양병 중편 037-1 - 령계출감탕 (복령계지백출감초탕)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8. 5. 1.
반응형

 령계출감탕은 령계감조탕과 구성을 비교하면 약재가 하나 바뀐 차이만 있습니다. 하지만 대상으로 하는 환자의 주요 증상이나 불편감을 호소하는 부위가 달라집니다. 대조와 백출에 대해 알아보고 그 차이를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처방명

령계출감탕 (桂朮甘湯)

구성

백복령 6 : 계지 4 : 백출 3 : 감초 2

원문 구성

복령 4 : 계지 3 : 백출, 감초 2

37조 증상

토하후, 심하역만, 기상충흉, 기즉두현, 맥침긴

병위 및 병성

표리간 심하, 음허증

 

령계감조탕

 동계를 치료하는 두 약재가 주를 이룹니다. 바로 계지와 복령입니다. 복령에도 경련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으나 상한론에서는 동계의 주된 약재는 계지입니다. , 심하계를 치료하던 계지감초탕에 비해 치료 부위가 조금 더 아래로 내려간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저자도 복령과 감초를 더한 것과 이러한 치료 목표 병위가 달라진 것에 대한 명쾌한 답은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복령 자체도 삼초에 모두 작용하는 약이며 대조의 경우에도 중초에 주로 작용하는 약이기에 하초로 주로 작용하는 이 처방을 설명하기에 어렵기 때문입니다.

 다른 서적의 해석에서는 심양과 신음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가 발한법을 사용하여 심양이 손상을 받게 되고 그로 인해 신음이 망동하여 수음이 위로 치솟으려는 상태로 파악합니다. 그렇다면 수기를 다스리는 복령이나 진정 작용을 내포하고 있는 대조의 추가로 분돈을 막는 것을 이해하기에 도움이 되는 부분입니다.

 

대조

 대조는 성질이 따뜻하며 여러 약이 조화롭게 어울리도록 하며 소화기능을 원활하게 합니다. 또한 생강의 자극성을 감소시켜 장복 혹은 대량 복용에도 문제가 없도록 하는 역할도 있어 생강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조를 다량 복용하면 오히려 가스가 차고 복부에 팽만감이 발생하는데 생강이 이러한 부작용을 막아주므로 두 약재는 상부상조하는 관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백출

 백출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며 보익약에 해당합니다. 주로 소화기능을 증진시키며 중초를 북돋아줍니다. 그 외 기능으로는 리수작용도 수행합니다. 저자는 이에 대해서 반대로 이야기합니다. 리수작용을 통해 습을 제거하는 것을 백출을 주된 기능으로 봅니다. 소화기능 개선에서 비위(脾胃)는 습()을 싫어하기 때문에 리수작용에 따른 결과적인 효능으로 봅니다.

 

령계출감탕

 복령과 계지는 기상충 혹은 분돈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약재입니다. 또한 감초는 약성이 조화를 이루게 하고 온성을 보충해줍니다. 기본적으로는 령계감조탕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상충에서 유일하게 심하만이 언급된 것으로 보아 심하부에 음액이 정체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기상충이 양기의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라는 전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 음액을 치료해야 하는데 중초부위에 작용하며 리수작용을 가지고 있는 백출이 추가되어 그 역할을 해냅니다.

 현훈의 경우에는 기, , 수 어디에서든 변동이 있는 경우라면 발생할 수 있는 증후이며 움직여야만 발생하므로 위급한 증후는 아닙니다.

 결과적으로 령계출감탕은 표리간의 심하부에 정체된 음액을 제거하는 처방이며 수병을 해결하는 것을 통해 다른 증상들도 치료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자는 기립성 현훈에 대증적으로 사용하는 처방이라고 언급하며 별다른 특징이 없이 나타날 때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다른 증상이나 양상이 더해진다면 사물탕, 사군자탕 등과 합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참고서적 : 권순종 (2009). 의문췌언 (입문편). 의방출판사.

- 개인적인 공부를 위한 기록입니다. 공식적이지 않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실과 다른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는 경우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관련 포스팅들>

2018/04/26 - [[상한론]/의문췌언 입문편] - 태양병 중편 037 - 령계출감탕의 증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