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론]/大塚敬節

상한론 大塚敬節 양명병편 113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8. 1. 8.
반응형

113.
陽明病, 脇下硬滿, 不大便而嘔, 舌上白苔者, 可與小柴胡湯.
上焦得通, 津液得下, 胃氣因和, 身濈然汗出而解.




해석 


 陽明病 환자의 脇下部가 단단하고 그득하니 대변을 보지 못하고 구토를 한다. 혀에는 白苔가 보이는 상황이라면 小柴胡湯을 사용할 수 있다.


 上焦의 기운이 통하면 津液이 아래로 도달할 수 있어 胃氣의 조화가 돌아오니 몸에 땀이 꾸준히 나면서 병이 낫는다.





사견 및 풀이 


 陽明病이라 칭했지만 증상의 특징을 보면 少陽陽明幷病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변을 보지 못하면서 少陽病의 특징이 있어 大柴胡湯의 적응증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지금 白苔가 관찰되어 熱이 왕성하지 않기에 小柴胡湯을 사용한 것입니다.


 만일 小柴胡湯을 복용하고도 효과가 없고 설태가 黃苔로 변화한다면 大柴胡湯을 응용할 수 있습니다.


 약의 목표가 다르긴 하지만 유아나 소아의 변비에는 小柴胡湯으로 효과를 보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 참고서적 : 大塚敬節 저, 박병희 역(2004). 임상응용 상한론해설. 의방출판사.

※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

※ 개인적인 이해를 위한 의견이 포함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음을 고지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