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론]/大塚敬節

상한론 大塚敬節 태양병 중편 046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7. 10. 2.
반응형

46.

發汗吐下後, 虛煩不得眠, 若劇者, 必反覆顚倒, 心中懊憹, 梔子豉湯主之.

若少氣者, 梔子甘草豉湯主之, 若嘔者, 梔子生薑豉湯主之.




해석 


 發汗法, 涌吐法, 攻下法 모두 사용한 뒤에 虛煩이 발생하여 잠을 잘 수 없다. 심한 경우에는 반드시 반복하여 뒤척이고 心中에 懊憹感이 있으며 梔子豉湯으로 치료한다.

 만약 呼吸이 얕아진다면 梔子甘草豉湯으로 치료하고, 만약 嘔吐가 나타난다면 梔子生薑豉湯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或이나 若으 사용하지 않고 치료법을 나열하여 한 환자에게 세 가지 치료법 모두 사용한 경우를 표현하였습니다. 여기에 後를 붙였기 때문에 전에 있던 證과는 달라졌고 虛煩 및 불면 증상이 나타난 것입니다.


 心下部가 충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나는 煩證이며 이는 梔子豉湯으로 치료합니다. 같은 虛煩이지만 熱象을 보이지 않는다면 酸棗仁湯으로 치료합니다.


 心中懊憹를 보이는데 腹滿 및 便秘가 나타난다면 承氣湯類로 치료합니다. 心下部가 단단하고 호흡이 촉박한 증상을 동반한 心中懊憹라면 大陷胸湯으로 치료합니다. 이 두 가지 경우는 實煩에 해당합니다.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 참고서적 : 大塚敬節 저, 박병희 역(2004). 임상응용 상한론해설. 의방출판사.

※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

※ 개인적인 이해를 위한 의견이 포함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음을 고지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