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론]/송본

[상한론 송본 366] 양허가 경미한 설사에서 한출로 병이 풀어짐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7. 9. 10.
반응형

366.

下利, 脈沈而遲, 其人面少赤, 身有微熱, 下利淸穀者, 必鬱冒汗出而解, 病人必微厥, 所以然者, 其面戴陽, 下虛故也.




해석 


 설사를 하는 환자의 맥상이 침지하고 얼굴이 약간 붉으며 몸에도 경미한 열이 있다. 설사의 양상은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배출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답답하고 어지러운 울모가 있을 수 있으며 땀을 흘리면 병이 나으면서 경도의 궐증이 발생한다. 그 이유는 얼굴빛이 붉으면서 하초 부위는 허한(虛寒)하기 때문이다.




사견 및 풀이 


 지금 환자의 맥상으로는 양허음성(陽虛陰盛)의 상황입니다. 하지만 증상에서 얼굴에 붉은빛이 남아있고 몸에 열도 약간 남아있으며 나중에 발생하는 궐증도 강하지 않게 나타나므로 양허가 비교적 가벼운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 온 몸의 양기가 부족한 중에 흉중 혹은 위완부에 몰려서 나타나는 증상이 울모입니다. 양기가 회복되면서 양기의 세력이 커지고 강해져 한사를 몰아내는 과정에서 사지부로 한사가 몰려나가는데 이 때 궐증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땀이 나는 것 역시 양기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열기가 위로 올라가 나타나는 머리 부위의 경미한 땀의 양상을 보입니다.




※ 참고서적 : 안규석 외 16인 역(2008). 현대상한론. 한의문화사.

※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

※ 개인적인 이해를 위한 의견이 포함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음을 고지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