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38.
陽明病, 下之, 心中懊憹而煩, 胃中有燥屎者, 可攻.
腹微滿, 初頭硬, 後必溏, 不可攻之.
若有燥屎者, 宜大承氣湯.
해석
양명병 환자에게 하법을 사용하였는데 심장부에 오뇌감이 있고 번민한 경우 위가(胃家) 중에 조시가 있는 것이니 공하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복부가 약간 그득하고 대변의 초반은 단단하나 후반이 무른 경우에는 하법을 사용할 수 없다.
조시가 있어 공하법을 사용해야 할 경우라면 대승기탕을 사용하는 것이 마땅하다.
사견 및 풀이
238조는 228조와 상대적인 조문입니다. 양명병에서 하법을 사용한 뒤의 상황에 따라 처방이 달라지는 것으로 228조를 참조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하법을 사용하였음에도 열성 증상이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는 것은 사기가 모두 제거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체내에 남은 조열(燥熱)과 조시(燥屎)가 결합하여 대변의 배출을 어렵게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공하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반면에 대변이 단단한 듯 하지만 후반부에서 무른 변이 보인다면 이는 조시에 의한 내부 결체가 아닙니다. 비장의 허한(虛寒)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공하법을 사용한다면 더욱 악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참고서적 : 안규석 외 16인 역(2008). 현대상한론. 한의문화사.
※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
※ 개인적인 이해를 위한 의견이 포함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음을 고지합니다 ^^
반응형
'[상한론] > 송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한론 송본 240] 맥상에 따른 표리 감별 및 증치 (0) | 2017.08.15 |
---|---|
[상한론 송본 239] 양명부실로 조시가 존재하는 증치 (0) | 2017.08.14 |
[상한론 송본 237] 양명병 축혈의 증치 (0) | 2017.08.14 |
[상한론 송본 236] 양명병 환자에서 나타난 발황의 증치 (0) | 2017.08.13 |
[상한론 송본 235] 표실증(表實證)을 동반한 양명병의 증치 (0) | 2017.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