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론]/大塚敬節

상한론 大塚敬節 소음병편 152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8. 1. 24.
반응형

152.
少陰病, 下利淸穀, 裏寒外熱, 手足厥逆, 脈微欲絶, 身反不惡寒, 其人面色赤, 或腹痛, 或乾嘔, 或咽痛, 或利止脈不出者, 通脈回逆湯主之.




해석 


 少陰病 환자가 설사를 하는데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배출되고 裏部에는 寒邪가 있으나 겉으로 보기에는 熱이 있어 보인다. 손발이 차고 脈象이 微細하고 끊어질 듯하다. 몸에는 반대로 오한감이 없고 그 사람의 얼굴 빛은 붉은 색이다. 腹痛, 乾嘔, 咽痛, 설사가 멈추고 맥이 나타나지 않는 등의 혹연지증이 있는 경우라면 通脈回逆湯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여기서 나타나는 증상들로 보면 通脈回逆湯은 回逆湯證보다 더 위급한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하는 처방으로 보입니다.


 몸에 열이 있어 보이지만 맥이 미세하고 손발이 찬 것은 몸의 정기가 흩어져 버리려는 징조로 볼 수 있어 위급한 것입니다.


 陰證의 경우는 보통 오한감을 동반하기 마련인데 지금은 그렇지 않으므로 通脈回逆湯을 사용하는 감별점이 될 수 있습니다.


 玄武湯證과 비교하여 상황이 급박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 참고서적 : 大塚敬節 저, 박병희 역(2004). 임상응용 상한론해설. 의방출판사.

※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

※ 개인적인 이해를 위한 의견이 포함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음을 고지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