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42.
少陰病, 下利便膿血者, 桃花湯主之.
해석
少陰病 환자가 설사를 하면서 농혈변을 본다면 桃花湯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이 문장도 처방을 본 뒤 증상을 추측해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白頭翁湯에서도 설사를 목표로 하며 熱性의 설사에 사용합니다. 강도가 비교적 강한 설사에 사용하는 처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白頭翁湯과 桃花湯이 주로 비교되며, 桃花湯은 虛寒의 양상을 보이는 설사에 사용합니다.
결론적으로 혈액 혹은 농혈이 섞인 설사를 하는 환자가 虛寒證의 증상을 보인다면 桃花湯을 처방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적절할 것 같습니다.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 참고서적 : 大塚敬節 저, 박병희 역(2004). 임상응용 상한론해설. 의방출판사.
※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
※ 개인적인 이해를 위한 의견이 포함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음을 고지합니다 ^^
반응형
'[상한론] > 大塚敬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한론 大塚敬節 소음병편 144 (0) | 2018.01.21 |
---|---|
상한론 大塚敬節 소음병편 143 (0) | 2018.01.21 |
상한론 大塚敬節 소음병편 141 (0) | 2018.01.20 |
상한론 大塚敬節 소음병편 140 (0) | 2018.01.19 |
상한론 大塚敬節 소음병편 139 (0) | 2018.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