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론 大塚敬節 태양병 중편 025
25.傷寒表不解, 心下有水氣, 乾嘔發熱而咳, 或渴, 或利, 或噎, 或小便不利, 小腹滿, 或喘者, 小靑龍湯主之. 해석 太陽傷寒證에서 表證이 아직 치료되지 않았는데 心下部에 水氣가 있고 乾嘔, 發熱, 기침 증상이 나타난다. 或然之症으로 口渴, 下利, 噎, 小腹滿을 동반한 小便不利, 氣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환자는 小靑龍湯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3장에서 太陽傷寒證은 表邪가 있음과 동시에 裏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25장에서도 그러한 양상을 보여줍니다. 表邪로 인해 心下의 水氣가 動하여 문제를 일으킵니다. 그렇기에 表邪를 흩어버리고 心下의 水氣를 제어할 수 있는 小靑龍湯을 처방합니다. 大靑龍湯과 表熱證을 치료하는 것에 공통적인 효능을 보이는 반면 大靑龍湯은 裏의 鬱熱, 小靑龍..
2017. 9. 25.
[상한론 송본 40] 심하유수기(心下有水氣)를 동반한 태양상한(太陽傷寒)
40.傷寒表不解, 心下有水氣, 乾嘔, 發熱而咳, 或渴, 或利, 或噎, 或小便不利, 小腹滿, 或喘者, 小靑龍湯主之. 해석 - 태양상한 환자의 표증이 풀리지 않았는데, 심하부에 수기가 있고 마른 구역질과 발열, 기침을 하는 경우 소청룡탕으로 치료한다. 단, 환자는 갈증, 설사, 섭식 시 목이 메이는 증상, 소변의 원활치 못함, 소복부의 불편감, 천증 중 몇몇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사견 및 풀이 - 심하유수기 심하부 혹은 위완부에 수음이 정취(停聚)가 존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완부에 타진을 통해 수음의 여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심하유수기의 경우 체내의 기기승강(氣機升降)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나온 것이 40조에 나타난 ‘건구’와 ‘해’ 입니다. 폐는 위아래로 기운을 보내고 위는 아래로 기..
2017.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