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사울표3

태양병 상편 011 - 계지마황각반탕의 의의 11. 太陽病, 得之八九日, 如瘧狀, 發熱惡寒, 熱多寒少, 其人不嘔, 淸便欲自可, 面色反有熱色者, 以其不能得少汗出, 身必痒, 宜桂枝麻黃各半湯. 어느 정도 날이 지난 뒤이고 학상과 같은 양상으로 왕래한열을 표현하여 소양병과 유사하다는 상황을 정리해놓은 것이 전반부이다. 그러나 불구, 청변욕자가를 통해 리증과 반표반리증을 배제하여 표증임을 말해준다. 得之라는 표현으로 진행이 완만한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8-9일이 경과하였는데도 병이 낫지 않는다는 것은 내위로 넘어갔을 수도 있는 시기이며 그럼에도 리증, 반표반리증을 모두 부정하였으므로 표증 치고는 진행이 느린 것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왕래한열에서 발열의 비중이 많다는 것은 아직 정기가 사기를 이겨내기에는 부족하지만 불리한 상황은 아니라는 .. 2018. 3. 11.
상한론 大塚敬節 태양병 상편 015 15.太陽病, 發熱惡寒, 熱多寒少, 脈微弱者, 不可發大汗, 宜桂枝二越婢一湯. 해석 太陽病 환자가 發熱, 惡寒 증상이 번갈아 나타나는데 發熱이 나타나는 시간은 길고 惡寒이 나타나는 시간은 짧다. 이러한 환자가 脈象이 微弱하다면 과도한 發汗은 시킬 수 없으니 桂枝二越婢一湯이 마땅하다. 사견 및 풀이 微脈은 細脈의 양상에서 軟한 것이 더해진 脈象입니다. 그렇기에 긴장도가 떨어지며 弱한 맥상이 동반되기 마련입니다. 그런 경향성을 보아 陽虛의 상태로 해석합니다. 發汗을 시키면 陽氣가 땀을 통해 배출되므로 陽虛의 상태에서는 과도한 發汗이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越婢湯은 傷寒論의 문장에서는 언급이 되어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들어 이 문장도 잘못되어 삽입된 것인 아니냐는 의견이 있습니다. 越婢湯은 金匱要略에 언급.. 2017. 9. 22.
[상한론 송본 23] 태양병의 미사울표(微邪鬱表) 23.太陽病, 得之八九日, 如瘧狀, 發熱惡寒, 熱多寒少, 其人不嘔, 淸便欲自可, 一日二三度發.脈微緩者, 爲欲愈也; 脈微而惡寒者, 此陰陽俱虛, 不可更發汗更下更吐也; 面色反有熱色者, 未慾解也, 以其不能得小汗出, 身必痒, 宜桂枝麻黃各半湯. 해석 - 태양병 환자가 병에 걸린지 8-9일이 지나고 마치 학질의 발작과 같은 양상으로 발열과 오한이 반복되는데, 발열의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오한의 지속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며 하루에 2-3회 정도 나타난다. 환자에서 구토가 나타나지 않고 대변에도 문제가 없다. 맥상이 미완으로 나타난다면 나으려는 것이고 미약으로 나타나면서 오한감을 느낀다면 이는 음양이 모두 허한 것을 말하니 발한법, 하법, 토법 모두 사용할 수 없다. 얼굴에 오히려 붉은 빛이 도는 경우는 땀이 조금.. 2017.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