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론]/大塚敬節

상한론 大塚敬節 궐음병편 161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8. 1. 27.
반응형
161.
傷寒, 脈微而厥, 至七八日膚冷, 其人躁, 無暫安時者, 非爲蚘厥也.
今病者靜, 而復時煩, 須臾復止, 得食而嘔, 又煩, 其人當自吐蚘, 蚘厥者, 烏梅圓主之.




해석 


 外感病에서 脈象이 微하고 厥의 증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 7-8일에 이르러 피부가 차갑다. 그 환자는 躁擾하며 안정되는 때가 없으니 蚘厥證이 아니다.


 지금 병이 안정되어 있지만 다시 心煩이 나타나는 때가 있고 또 다시 잠시 그칠 때가 있다. 음식을 섭취하면 구토를 일으키고 또 心煩이 나타난다. 그 환자는 스스로 蚘蟲을 토하는 것이 마땅하니 蚘厥證이다. 烏梅圓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161장에서는 厥證 환자 중 蛔蟲으로 인한 것을 감별하는 요령을 알려줍니다.


 첫 문장에서 한시도 안정되지 않는 양상을 보이는 것은 臟厥이라 하여 치료할 수 없는 증상입니다.


 하지만 발작적으로 괴로운 증상이 발현되다 그치다 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은 蚘厥證으로 烏梅圓의 적응증입니다.


 躁煩의 차이에 의해서도 구분이 됩니다. 躁는 손발을 움직이며 괴로워하는 것을 말하고 煩은 자각적인 괴로움을 말하므로 躁가 더 심한 증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臟厥은 증상이 심하면서 나타나는 시간도 지속적이고 蚘厥은 증상이 비교적 가벼우면서 나타나는 시간도 간헐적인 특징일 보입니다.


 烏梅圓은 蛔蟲과 관계없이 오랫동안 멎지 않는 설사에도 응용할 수 있는 처방입니다.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 참고서적 : 大塚敬節 저, 박병희 역(2004). 임상응용 상한론해설. 의방출판사.

※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

※ 개인적인 이해를 위한 의견이 포함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음을 고지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