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법3

[상한론 송본 335] 열궐증(熱厥證)의 증치 및 발한 금기 335.傷寒一二日至四五日, 厥者必發熱. 前熱者後必厥, 厥深者熱亦深, 厥微者熱亦微. 厥應下之, 而反發汗者, 必口傷爛赤. 해석 외감병을 얻고 1-2일 혹은 4-5일까지 궐증에 앓은 경우에는 반드시 그 전에 발열이 있다. 만약 먼저 발열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그 뒤에 반드시 궐증이 나타난다. 궐증이 심한 환자는 발열도 역시 심하고, 궐증이 경미한 환자는 발열도 역시 경미한 경향이 있다. 궐증에는 응당히 하법을 사용하는데 오히려 발한법을 사용한다면 반드시 입안이 헐고 혀에 창양이 발생한다. 사견 및 풀이 335조는 332-4조와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앞선 조문들은 궐증을 앓은 뒤 궐증이 사라지고 발열이 나타나는 경우 혹은 발열이 나타난 뒤 발열이 사라지고 궐증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하며, 본 조문은 발열이 나타난.. 2017. 9. 3.
[상한론 송본 171] 태양소양병병의 자침처 및 금기 171.太陽少陽倂病, 心下硬, 頸項强而眩者, 當刺大椎, 肺兪, 愼勿下之. 해석 태양소양병병에서 심하부에 단단함이 느껴지고 뒷목이 뻣뻣하며 어지러운 경우에는 대추혈, 폐수혈, 간수혈에 자침을 해야 한다. 또한 하법을 사용하는 데에 신중해야 한다. 사견 및 풀이 조문에 하법에 대한 이야기 이전까지는 142조의 내용과 다르지 않습니다. Link : [상한론 송본 142] 태양소양병병의 자침법 및 발한금기 하법을 사용하면 사기가 리부로 내함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에 태양소양병병에서의 하법은 신중해야 한다고 한 것입니다. 물론 사기가 내함한다 하여 무조건 양명조실증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 참고서적 : 안규석 외 16인 역(2008). 현대상한론. 한의문화사.※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 2017. 7. 31.
[상한론 송본 153] 외감병의 오치들로 인한 변화 153.太陽病, 醫發汗, 遂發熱惡寒, 因復下之, 心下痞. 表裏俱虛, 陰陽氣幷竭, 無陽則陰獨. 復加燒鍼, 因胸煩. 面色靑黃, 膚瞤者, 難治; 今色微黃, 手足溫者, 易癒. 해석 외감병에 걸려 의사가 발한법을 사용하였는데 여전히 발열, 오한의 증상이 있다. 다시 하법을 사용하니 심하부에 비증이 발생하였다. 표리가 모두 허한 상황이라 음양도 함께 모두 손상되었고 표증이 사라진 뒤 리증만 남았다. 다시 소침을 사용하니 흉부에 번열감을 가중시킨다. 얼굴색이 푸르거나 누런 색을 띠며 피부가 떨린다면 치료하기 어려우나; 지금은 얼굴색이 경도의 황색을 띠고 수족이 따뜻하여 쉽게 나을 것이다. 사견 및 풀이 외감병에 발한법을 사용했음에도 오한발열이 남아있다는 것은 발한법의 수단 혹은 정도가 바르지 못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7. 7.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