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리부지2

[상한론 송본 159] 비증과 설사가 동반된 경우 사용하는 여러 치료법 159.傷寒服蕩藥, 下利不止, 心下痞硬. 服瀉心湯已, 復以他藥下之, 利不止. 醫以理中與之, 利益甚. 理中者, 理中焦, 此利在下焦, 赤石脂禹餘粮湯主之. 復不止者, 當利其小便. 해석 외감병에 하법을 위한 탕약을 복용하여 설사가 그치지 않고 심하부에는 비증과 단단함이 발생하였다. 사심탕을 복용하였고 그 뒤 다시 다른 약으로 하법을 사용하니 설사가 역시 그치지 않는다. 의사가 이중탕으로 바꾸어 처방하였으나 설사가 더욱 심해졌다. 이중탕은 중초를 이롭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환자의 경우 설사는 하초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적석지우여량탕으로 치료한다. 다시 설사가 멈추지 않는다면 마땅히 소변을 배출시켜야 할 것이다. 사견 및 풀이 설사가 멈추지 않고 비증이 있었으므로 복용한 사심탕류는 감초사심탕 혹은 생강사심.. 2017. 7. 27.
[상한론 송본 150] 태양소양병병에 하법을 오용하여 발생한 결흉 150.太陽少陽倂病, 而反下之, 成結胸, 心下硬, 下利不止, 水漿不入, 其人心煩. 해석 태양소양병병 환자에게 오히려 하법을 사용하면 결흉이 발생하여 심하부가 단단해지고 설사가 멎지 않으며 물을 마셔 삼킬 수 없고 심번이 동반된다. 사견 및 풀이 하법을 사용하면 사기가 내함하며 리부에 수음의 여유가 있는 사람의 경우 열사와 결합해 결흉을 이룹니다. 150조와 같은 경우에는 하법을 사용한 뒤 중초의 정기도 아래로 내림당해 위기(胃氣)의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입니다. 그렇기에 설사가 멈추지 않고 물을 마실 수 없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결흉 증상과 설사가 멈추지 않는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는 대변이 굳어 나오지 않는 증상보다 더 중한 질환입니다. 사기가 내부에서 뭉치고 왕성한 것과 함께 정기가 크게 손상받은.. 2017.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