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액손상2

[상한론 송본 252] 양명조열에 의한 진액손상을 막아야 하는 경우 252.傷寒六七日, 日中不了了, 睛不和, 無表裏證, 大便難, 身微熱者, 此爲實也, 急下之, 宜大承氣湯. 해석 외감병을 앓은지 6-7일이 경과된 뒤 시야가 또렷하게 보이지 않고 안구의 운동이 원활하지 못하며 표증이나 리증이 겉으로 보이지 않는 환자에서 대변을 보기 어렵고 몸에 약간 열이 난다면 이는 리실증으로 볼 수 있다. 급히 하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대승기탕이 적합하다. 사견 및 풀이 표증, 리증이 모두 없다는 표현은 전형적인 증상이 없다는 의미로 한 눈에 보기에 표증이다, 리증이다 판단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대변을 보기 어렵고 표면에 약한 열이 나는 증상으로 양명열로 인한 리실(裏實)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양명병의 조열(燥熱)은 간신음(肝腎陰)을 손상시키므로 눈과 관련한 증상이 .. 2017. 8. 17.
[상한론 송본 213] 양명병의 진액 손상에 대한 증치 213.陽明病, 其人多汗, 以津液外出, 胃中燥, 大便必硬, 硬則譫語, 小承氣湯主之, 若一服譫語止者, 更莫復服. 해석 양명병 환자에서 땀이 많이 배출되는 것은 진액이 체외로 나가는 것이라 위장 내부는 마르게 되어 대변이 반드시 단단해진다. 대변의 단단함은 섬어 증상으로 이어지니 소승기탕으로 치료한다. 만약 한번 복용 하고 섬어 증상이 그친다면 다시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사견 및 풀이 213조 에서는 해석에서 보는 것과 같은 내용으로 첨언할 것이 별로 없습니다. 양명병의 일반적인 진행 단계에 대해서만 알아보겠습니다. 양명병은 일반적으로 초기에 열(熱)이 왕성해 집니다. 열이 왕성하여 진액을 배출시키고 손상시키면 병의 성질이 조(燥)로 바뀌게 됩니다. 그리고 조열(燥熱)의 세력이 강해지면 대변이 마르고 배출.. 2017. 8.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