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저당환2

상한론 大塚敬節 태양병 중편 069 69. 傷寒有熱, 少腹滿, 應小便不利. 今反利者, 爲有血也, 宜抵當丸. 해석 太陽傷寒의 환자가 熱이 있고 小腹部에 膨滿이 있다면 응당히 小便에 지장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은 반대로 小便에 지장이 없으니 마땅히 攻下法을 사용해야 하니 抵當丸이 마땅하다. 사견 및 풀이 여기서의 熱은 裏熱로 파악하는데 裏寒에 대비하여 표현한 것입니다. 裏寒이 있으며 小腹部의 膨滿과 함께 小便에 지장이 있다면 이는 玄武湯證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덧붙여 裏寒이 있으며 小腹部의 膨滿과 함께 小便에 지장이 없고 손발이 厥冷하다면 回逆湯證으로 볼 수 있습니다. 裏熱이 있는 가운데 小腹部가 膨滿하며 小便에 지장이 있는 것은 茵蔯蒿湯證 혹은 猪苓湯證으로 봅니다. 69장의 환자는 抵當湯證과 유사하지만 狂症이 나타나지 않아 완만한 성.. 2017. 10. 16.
[상한론 송본 126] 태양축혈이 비교적 무겁지는 않을 때 치료 126.傷寒有熱, 少腹滿, 應小便不利, 今反利者, 爲有血也, 當下之, 不可餘藥, 宜抵當丸. 해석 - 외감병 환자에 발열이 있고 소복의 그득함이 있다면 마땅히 소변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해야 하는데 지금 오히려 지장이 없으니 이는 축혈증이 있는 것이라 응당히 하법을 사용해야 하는데 다른 약은 사용할 수 없고 저당환이 적당하다. 사견 및 풀이 - 傷寒有熱, 少腹滿, 應小便不利 발열이 있다는 것은 표증이 남아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곧 경맥을 따라 리부로 사기가 침입할 수 있다는 의미도 됩니다. 소복의 그득함은 리증이 나타나기 시작했음을 말해줍니다. 보통 소변불리가 나타난다면 축수증을 생각할 수 있으나 지금 환자는 그렇지 않기에 배제 가능합니다. - 不可餘藥, 宜抵當丸 여기서 다른 약이라 함은 승기탕류를 말.. 2017. 7.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