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열궐5

[상한론 송본 350] 열궐의 맥상 및 치료 350.傷寒, 脈滑而厥者, 裏有熱, 白虎湯主之. 해석 외감병 환자의 맥상이 활맥이고 궐증이 나타나는 경우는 리부에 열이 있는 것이니 백호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활맥은 맥이 전해져 오는 움직임이 빠르면서도 물 흐르듯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뒤의 언급과 사용한 처방으로 보아 350조의 활맥은 활삭유력(滑數有力)한 맥상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렇기에 열성기옹(熱盛氣壅)의 양상으로 궐증도 열궐(熱厥)에 해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350조의 조문만을 보고는 사실 열궐에 대한 확실한 변증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실제로 환자를 변증하기 위해서는 흉복부의 작열감이나 입 안의 갈증으로 물을 마시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어야 하고 혀가 붉은 색을 띠거나 설태가 황색을 띠는 등의 참고 증상도 함께 있어야 할 것.. 2017. 9. 6.
[상한론 송본 341-2] 열궐의 대립과 양복태과 341.傷寒發熱四日, 厥反三日, 復熱四日, 厥少熱多者, 其病當愈, 四日至七日, 熱不除者, 必便膿血. 해석 외감병 환자가 발열 증상을 4일간 보이고 그 뒤 궐증은 3일간 보였는데 그 뒤에 다시 발열 증상이 4일간 나타났다. 궐증이 적고 열증이 많은 경우이니 이러한 환자는 당연히 낫게된다; 만약 마지막 발열 증상의 지속기간이 4일이 지나 7일이 넘어간다면 반드시 농혈변을 보게 될 것이다. 사견 및 풀이 해석한 내용 외에 크게 언급할 만한 설명은 없는 것 같습니다. 궐증에 대해서 간단하게만 언급하고 넘어가겠습니다. 궐증은 크게 열궐, 한궐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열궐의 경우 열사가 몸 안에서 뭉쳐 원활하게 말단으로 공급되지 못합니다. 한궐의 경우는 양기 그 자체의 부족으로 온후작용을 하지 못해 발생합니다. 열궐.. 2017. 9. 5.
[상한론 송본 339] 가벼운 열궐의 두 가지 경과 339.傷寒熱少厥微, 指頭寒, 嘿嘿不欲食, 煩躁. 數日, 小便利, 色白者, 此熱除也, 欲得食, 其病爲愈. 若厥而嘔, 胸脇煩滿者, 其後必便血. 해석 외감병 환자의 발열도 궐증도 그다지 심하지 않아 손끝만 차다. 그 환자가 가라앉는 기분이 들며 식욕이 없고 심번조요한 상황이다. 며칠 후 소변을 보는데 색이 맑다면 이는 리부의 열이 제거된 것이니 식욕이 돌아온다면 병이 곧 나을 것이다. 만약 궐증이 심해지고 구토 증상이 나타나는 동시에 흉협부에 번열감과 그득함이 있는 경우라면 얼마 후에 혈변을 보게 될 가능성이 있다. 사견 및 풀이 339조는 열궐(熱厥)이 가볍게 나타나는 경우를 보여줍니다. 발열과 궐증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으므로 열궐은 맞으나 그 정도가 경미합니다. 열사가 내부에서 뭉쳐있는 정도가 비교적 가.. 2017. 9. 4.
[상한론 송본 337] 궐증의 병리 및 분류 337.凡厥者, 陰陽氣不相順接, 便爲厥. 厥者, 手足逆冷者是也. 해석 궐증은 음기와 양기가 서로 원활하게 관계를 맺지 못하고 있어 발생하는 것이다. 궐증의 특징은 수족부의 궐냉감이다. 사견 및 풀이 궐증의 원인에 대한 조문입니다. 먼저 여기서 설명하고 있는 음기와 양기의 문제에 대해 보겠습니다. 사기가 실(實)하여 정기의 흐름이 막혀있거나 기혈의 허쇠(虛衰)로 정기를 흐르게 하는 추진력이 약해진다면 리부의 정기가 외부로 도달하지 못해 표리교통(表裏交通)의 장애가 발생하여 수족부에 궐냉감이 발생합니다. 궐증의 분류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내외의 음양이 서로 통하지 못하는 경우와 상하의 음양이 서로 통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물론 두 가지 모두 정기의 흐름이 막힌 것이라는 공통점은 있습니다. 양.. 2017. 9.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