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양명조열4

[상한론 송본 252] 양명조열에 의한 진액손상을 막아야 하는 경우 252.傷寒六七日, 日中不了了, 睛不和, 無表裏證, 大便難, 身微熱者, 此爲實也, 急下之, 宜大承氣湯. 해석 외감병을 앓은지 6-7일이 경과된 뒤 시야가 또렷하게 보이지 않고 안구의 운동이 원활하지 못하며 표증이나 리증이 겉으로 보이지 않는 환자에서 대변을 보기 어렵고 몸에 약간 열이 난다면 이는 리실증으로 볼 수 있다. 급히 하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대승기탕이 적합하다. 사견 및 풀이 표증, 리증이 모두 없다는 표현은 전형적인 증상이 없다는 의미로 한 눈에 보기에 표증이다, 리증이다 판단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대변을 보기 어렵고 표면에 약한 열이 나는 증상으로 양명열로 인한 리실(裏實)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양명병의 조열(燥熱)은 간신음(肝腎陰)을 손상시키므로 눈과 관련한 증상이 .. 2017. 8. 17.
[상한론 송본 221] 양명조열에 잘못된 치료로 인한 변증(變證)들 221.陽明病, 脈浮而緊, 咽燥口苦, 腹滿而喘, 發熱汗出, 不惡寒, 反惡熱, 身重. 若發汗則躁, 心憒憒, 及譫語; 若加燒鍼, 必怵惕煩躁不得眠; 若下之, 則胃中空虛, 客氣動膈, 心中懊憹, 舌上苔者, 梔子豉湯主之. 해석 양병병 환자가 맥상이 부긴하고 인두부가 마르고 입이 쓰다. 복부가 그득하며 숨이 차고 발열, 한출 증상은 보이는데 오한감이 없이 오열감이 있으며 몸이 무겁다. 만약 발한법을 사용한다면 곧 마음이 심란해지고 섬어 증상이 발생한다; 만약 온침을 사용한다면 반드시 두려워하며 심번조요 증상과 함께 불면증이 발생한다; 만약 하법을 사용한다면 장중(腸中)이 공허해져 외부 사기가 흉격부를 흔들어 놓아 심장부가 괴롭고 답답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혀에 황백박니(黃白薄膩)한 설태가 있는 경우라면 치자시탕으로.. 2017. 8. 10.
[상한론 송본 169] 양명조열(陽明燥熱)로 인한 진액과 정기 손상의 증치 2 169.傷寒, 無大熱, 口燥渴, 心煩, 背微惡寒者, 白虎加人蔘湯主之. 해석 외감병 환자가 큰 열이 나타나지 않으며 입이 마르고 갈증이 있다. 심번 증상과 함께 등 부위에 약간의 오한감이 드는 경우 백호가인삼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169조에서 표현한 무대열의 경우 168조에서 살펴본 표리구열(表裏俱熱)과 연관됩니다. 표부와 리부 양쪽 모두 열이 있지만 열의 근원은 리부에서 시작되므로 표부의 열은 상대적으로 가볍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양상을 무대열로 표현하였습니다. Link : [상한론 송본 168] 양명조열(陽明燥熱)로 인한 진액과 정기 손상의 증치 또한 갈증과 심번 증상은 리열의 존재를 알리는 증거가 됩니다. 배부의 오한감은 양명병 이외에도 소음양허(少陰陽虛)에서도 관찰 가능한 증상입니다. 그렇.. 2017. 7. 31.
[상한론 송본 168] 양명조열(陽明燥熱)로 인한 진액과 정기 손상의 증치 168.傷寒, 若吐若下後, 七八日不解, 熱結在裏, 表裏俱熱, 時時惡風, 大渴, 舌上乾燥而煩, 欲飮水數升者, 白虎加人蔘湯主之. 해석 외감병 환자에게 토법이나 하법을 사용한 뒤 7-8일이 지나도 병이 낫지 않고 열사가 리부에서 뭉친다면 표리에 모두 열이 있는 것이니 때때로 으슬거리고 크게 갈증이 크게 나타나면서 혀가 건조하고 타들어가는 느낌이 들어 물을 계속해서 마시고 싶어하는 경우 백호가인삼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토법 혹은 하법을 사용한 뒤라면 몸의 정기 및 진액에 손상을 받고 사기가 화열입리(化熱入裏)하니 위장에 진액이 부족한 상황이 이어집니다. 문장 자체에 재리(在裏)라고 언급하였기에 반표반리인 소양경이 아니라 양명경에 열사가 내함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양명병 관련 증상이 생략되어 있다.. 2017. 7.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