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음한화증2

[상한론 송본 282] 소음한화증(少陰寒化證)의 변증요점 282.少陰病, 欲吐不吐, 心煩但欲寐, 五六日, 自利而渴者, 屬少陰也, 虛故引水自救; 若小便色白者, 少陰病形悉具, 小便白者, 以下焦虛有寒, 不能制水, 故令色白也. 해석 소양병 환자가 구토를 하고 싶은 느낌이 있으나 구토를 하지 못하고 심번 증상과 함께 잠만 자려고 한다. 5-6일이 경과되어 설사를 하면서 갈증을 느낀다면 소음병에 속하는데, 진액이 부족한 허증이기 때문에 물을 마셔 스스로를 구하려 하는 것이다; 만약 소변의 색이 투명하다면 소음병의 형태가 모두 갖춰진 것이다. 소변이 맑다는 것은 하초에 허한(虛寒)의 양상이 있다는 것으로 수기를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사견 및 풀이 282조 역시 한화증(寒化證)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양기가 손상되어 음기가 왕성한 것으로 하초의 양기가 부족해.. 2017. 8. 23.
[상한론 송본 281] 소음한화증(少陰寒化證)의 제강 281.少陰之爲病, 脈微細, 但欲寐也. 해석 소음병 환자의 대표적인 맥상은 미세맥이며 주로 자려고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사견 및 풀이 281조는 소음병 중에 양허음성(陽虛陰盛)한 한화증(寒化證)의 제강입니다. 소음경이 배속된 장(臟)은 심신(心腎) 두 가지로 참고하면 좋습니다. 미맥은 기허(氣虛)를, 세맥은 혈허(血虛)를 의미하여 기혈양허(氣血兩虛)의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미세맥이 소음병에서 나타났다면 심신양허(心腎陽虛)의 양상을 표현하는 의미도 됩니다. 미맥은 주로 세맥을 동반하기에 기허 증상이 있다면 혈허도 함께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세맥은 미맥을 동반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에 혈허 증상이 있는 환자라고 해서 기허가 동반된다고 예상하면 안 됩니다. 물론 혈허 증상을 먼저 찾.. 2017.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