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역산2

상한론 大塚敬節 소음병편 153 153. 少陰病, 其人或欬, 或悸, 或小便不利, 或腹中痛, 或泄利下重者, 回逆散主之. 해석 少陰病을 앓는 환자에게 기침, 심계, 小便不利, 복통, 개운하지 않은 설사 등의 혹연지증이 보인다면 回逆散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이 문장은 풀이가 난해한 문장입니다. 少陰病을 앓고 있다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回逆散으로 치료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回逆散을 厥逆에 사용하는 것은 맞지만 모든 厥逆에 回逆散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 문장은 의미가 모호해집니다. 오히려 처방을 중심으로 해석하면 裏熱에 의한 熱厥에 해당해야 하므로 少陰病이라는 언급 부터가 이상해지는 상황입니다. ( 개인적으로 문장이 의도하는 바를 잘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2017/08/31 - [[상한론].. 2018. 1. 24.
[상한론 송본 318] 간위기체(肝胃氣滯)로 인한 사역(四逆)의 증치 318.少陰病四逆, 其人或咳, 或悸, 或小便不利, 或腹中痛, 或泄利下重者, 四逆散主之. 해석 소음병 환자의 사지에 궐역이 나타나는데, 그 환자에게서 기침, 심계, 소변불리, 복통, 설사, 후중감 등의 혹연지증이 보이는 경우 사역산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318조에서의 사역(四逆)은 소음한화증(少陰寒化證)에서의 사역과는 다릅니다. 이는 처방으로 사용한 사역산의 구성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사역산의 구성은 자감초, 지실, 시호, 작약 입니다. 즉, 부자, 건강 등의 보양(補陽) 역할을 하는 약재가 사용되지 않았으므로 사역산은 양허(陽虛)를 치료하는 처방이 아닙니다. 지금의 사역은 간위(肝胃)의 기체(氣滯)로 양기가 리부에서 뭉쳐있어 사말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발생합니다. 즉, 진열가한(眞熱假寒)의 양상.. 2017. 8.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