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황연초적소두탕2

상한론 大塚敬節 양명병편 126 126. 傷寒, 瘀熱在裏, 身必發黃, 麻黃連軺赤小豆湯主之. 해석 外感病에서 熱이 뭉쳐 裏部에 위치하면 반드시 몸에 黃疸이 나타나니 麻黃連軺赤小豆湯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126장의 경우는 裏熱로 인한 黃疸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茵蔯蒿湯의 적응증과 유사하며 表部을 다루는 麻黃劑로 치료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단, 浮腫, 黃疸, 小便不利 등의 裏熱 증상에 치험례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히 잘못된 조문이라고 생각할 수만은 없습니다.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2017/08/18 - [[상한론]/송본] - [상한론 송본 260-2] 다양한 습열발황(濕熱發黃)의 치료 ※ 참고서적 : 大塚敬節 저, 박병희 역(2004). 임상응용 상한론해설. 의방출판사. ※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 2018. 1. 13.
[상한론 송본 260-2] 다양한 습열발황(濕熱發黃)의 치료 260. 傷寒七八日, 身黃如橘子色, 小便不利, 腹微滿者, 茵蔯蒿湯主之. 해석 외감병을 앓은지 7-8일이 지나 몸에 황색이 마치 귤색과 같이 나타나고 소변이 원활하지 못하며 복부에 경미한 그득함이 있는 경우라면 인진호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귤색과 같은 황색이라는 것은 황색이 선명하며 윤택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양황(陽黃)에 속하는 것으로 습열(濕熱) 중에서도 열에 치우친 경우 나타나는 특징입니다. 소변이 원활치 못한 경우는 열사를 배출시킬 수 있는 길이 없음을 말합니다. 즉, 습열이 뭉쳐 기의 흐름을 막게 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는 간담의 소설(疏泄) 기능을 저하시킵니다. 기의 소통과 배출이 어려워지므로 복부에는 약간의 그득함이 있으나 양명부실(陽明腑實)과 같이 통증이 나타나거나 그득함.. 2017.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