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결흉8

[상한론 송본 134] 태양병에 하법을 오용하였을 경우의 경과 134.太陽病, 脈浮而動數, 浮則爲風, 數則爲熱, 動則爲痛, 數則爲虛. 頭痛發熱, 微盜汗出, 而反惡寒者, 表未解也. 醫反下之, 動數變遲, 膈內拒痛, 胃中空虛, 客氣動膈, 短氣躁煩, 心中懊憹, 陽氣內陷, 心下因硬, 則爲結胸, 大陷胸湯主之.若不結胸, 但頭汗出, 餘處無汗, 劑頸而環, 小便不利, 身必發黃. 해석 - 태양병 환자에서 맥상이 부하고 동삭한데 부맥은 풍사가 표부에 머무르고 있음을, 삭맥은 발열 증상이 있음을, 동맥은 통증이 있음을 나타내주며 또한 삭맥은 리실열이 아님을 나타낸다. 두통, 발열, 경증의 도한이 있는데도 반대로 오한이 있다면 표증이 풀리지 않은 것이다. 그럼에도 의사가 하법을 사용한 경우 동삭맥은 지맥으로 변하고 횡격막 주위로 사기가 내함하기 때문에 통증이 있으며 위기(胃氣)에 손상을 받.. 2017. 7. 20.
[상한론 송본 132] 부대맥 결흉증에 금기인 하법 132.結胸證, 其脈浮大者, 不可下, 下之則死. 해석 - 결흉증에 맥상이 부대한 경우 하법을 사용할 수 없으니 하법을 사용하면 죽는다. 사견 및 풀이 - 脈浮大 원래 결흉의 맥은 촌부관침입니다. 하지만 지금 여기서의 맥부대는 촌관척 모두 부대한 맥을 지칭합니다. 만일 부대맥이 유력하다면 표사가 왕성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표증으로 하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혹은 무력하다면 정기는 부족하고 사기가 왕성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역시 하법을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하법을 사용한다고 바로 죽는 것은 아니지만 주의하여 사용하라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다.) ※ 참고서적 : 안규석 외 16인 역(2008). 현대상한론. 한의문화사.※ 간략한 내용이니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별도의 학습이 필요합니다.. 2017. 7. 19.
[상한론 송본 131] 결흉증과 비증의 발생과 상부에 발생한 결흉증 131.病發於陽, 而反下之, 熱入因作結胸, 病發於陰, 而反下之, 因作痞. 所以成結胸者, 以下之太早故也. 結胸者, 項亦强, 如柔痓狀, 下之則和, 宜大陷胸丸. 해석 - 병이 표부에서 발생하였는데 오히려 하법을 사용한다면 화열전리(化熱傳裏)하여 결흉을 이루고, 병이 리부에서 발생하였는데 오히려 하법을 사용한다면 비증을 이룬다. 결흉이 생기는 것은 하법을 너무 빨리 사용했기 때문이다. 결흉 환자는 뒷 목도 뻣뻣해 유치(柔痓)의 모양과 유사할 수 있는데, 하법을 사용하면 곧 좋아질 수 있어 대함흉환을 사용하는 것이 마땅하다. 사견 및 풀이 - 病發於陽 이는 환자의 평소 체질을 말하는 것과도 같습니다. 양기가 충만하고 건장한 체격에 위기(胃氣)도 충분한 유여(有餘)한 양상으로 체내에 담수도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환.. 2017. 7. 19.
[상한론 송본 128] 결흉의 맥증 128.問曰: 病有結胸, 有藏結, 其狀何如? 答曰: 按之痛, 寸脈浮, 關脈沈, 名曰結胸也. 해석 - 묻기를: 병에 결흉이 있고 장결이 있는데 그 증상은 어떠한가요? 답하기를: 만지면 아프고 촌맥은 부맥, 관맥은 침맥이라면 결흉이라한다. 사견 및 풀이 - 病有結胸, 有藏結 결흉은 사기 혹은 담수(痰水)가 흉격부에 뭉치는 것이고 장결은 장이 어떠한 원인으로 손상을 받아 음한(陰寒)의 기운이 뭉치는 것을 말합니다. - 寸脈浮, 關脈沈 촌맥의 부맥은 흉부에 열기 혹은 사기가 있는 것을 말하며 관맥의 침맥은 중초에 담수가 뭉쳐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두 가지 모두 정기가 손상된 것은 아니니 맥이 유력한 특징을 보입니다. ※ 참고서적 : 안규석 외 16인 역(2008). 현대상한론. 한의문화사.※ 간략한 내용이니 자.. 2017. 7.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