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결흉증2

상한론 大塚敬節 태양병 하편 071 71. 太陽病, 脈浮而動數, 頭痛發熱, 微盜汗出, 而反惡寒者, 表未解也, 醫反下之, 動數變遲, 膈內拒痛, 短氣躁煩, 心中懊憹, 陽氣內陷, 心下因硬, 則爲結胸, 大陷胸湯主之. 若不結胸, 但頭汗出, 餘處無汗, 劑頸而環, 小便不利, 身必發黃. 해석 太陽病 환자의 脈象이 浮脈이면서 動數하다. 頭痛과 發熱이 있으며 경미하게 盜汗이 나타나는데 오히려 惡寒을 느낀다면 表邪가 제거되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의사가 攻下法을 잘못 사용하여 動數한 脈象이 遲脈으로 변화하고 胸膈部 안으로 痛症이 있고 호흡이 짧아지고 心煩, 躁擾가 나타난다. 증상이 심해져 心中에 懊憹를 느끼게 하고 陽氣가 내부로 침범하여 心下部에 단단함이 있다면 이는 곧 結胸이니 大陷胸湯으로 치료한다. 만약 結胸이 아니면서 머리에만 땀이 나고 다른 곳에는 땀.. 2017. 11. 8.
[상한론 송본 133] 결흉증 난치 케이스 133.結胸證悉具, 煩躁者亦死. 해석 - 결흉증을 모두 갖추고 있는 환자에게서 심번조요 증상이 보인다면 사망할 수 있다. 사견 및 풀이 - 結胸證 결흉증은 137조에 언급될 내용입니다. 심하부에 통증이 있는데 만지면 단단하고 이러한 양상이 소복부까지 이어지며 15:00-17:00 경에 조열 증상이 있는 것을 말합니다. - 煩躁者亦死 심번과 조요가 동시에 나타나는 환자의 경우는 사기가 왕성하면서 정기가 손상된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사기를 쳐내는 사법을 사용하면 정기의 손상으로 환자가 버티지 못하고, 정기를 보충해주는 보법을 사용하면 사기의 왕성함이 계속 진행되니 치료방법이 까다롭기에 사증(死證)이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 참고서적 : 안규석 외 16인 역(2008). 현대상한론. 한의문화사.※ 간략한.. 2017. 7.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