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변불리2

상한론 大塚敬節 태양병 중편 068 68. 太陽病, 身黃, 脈沈結, 少腹硬, 小便自利, 其人如狂者, 抵當湯主之. 해석 太陽病 환자의 몸에 黃疸이 보이고 沈結脈의 脈象이 나타나며 小腹部가 단단하다. 소변에는 지장이 없는데 그 환자가 미친 것 같으면 抵當湯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68장과는 다르게 小便이 원활하지 않은데도 목이 마르고 물을 마신다면 裏部에 瘀熱이 있는 것이고 黃疸이 발생합니다. 이는 黃疸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瘀熱과 瘀血의 차이이므로 증상이 크게 다르고 치료법도 크게 다릅니다. 이러한 瘀熱로 인한 黃疸에는 茵蔯蒿湯으로 치료를 진행합니다. 반면 68장에서는 小便이 원활하며 狂症이 보이고 小腹部의 硬滿이 있다면 瘀血證으로 볼 수 있고 抵當湯으로 치료를 진행합니다.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상한론 송본 125] 신황(身.. 2017. 10. 16.
[상한론 송본 59] 진액 부족으로 인한 배뇨장애(小便不利) 59.大下之後, 復發汗, 小便不利者, 亡津液故也; 勿治之, 得小便利, 必自癒. 해석 - 하법을 강하게 시행한 뒤 다시 발한법을 사용한 환자에서 소변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것은 진액이 손상받았기 때문이다; 리수법으로 치료할 수 없으며 (진액이 회복되어) 소변을 볼 수 있게 되면 반드시 자연스럽게 치료가 된다. 사견 및 풀이 - 小便不利 59조의 소변불리는 진액이 빠져나간 상태에서 온 것입니다. 즉, 원인이 배뇨 기전의 장애가 아니라 소변을 만들 수 있는 수분이 부족하다는 말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이뇨법으로 치료를 할 수 없는 것입니다. - 得小便利 진액이 회복되는 단계에서 양음생진(養陰生津)의 작용을 하는 처방을 복용한다면 회복을 조금 더 앞당길 수 있습니다. ※ 참고서적 : 안규석 외 16인 역(200.. 2017.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