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변혈2

[상한론 송본 339] 가벼운 열궐의 두 가지 경과 339.傷寒熱少厥微, 指頭寒, 嘿嘿不欲食, 煩躁. 數日, 小便利, 色白者, 此熱除也, 欲得食, 其病爲愈. 若厥而嘔, 胸脇煩滿者, 其後必便血. 해석 외감병 환자의 발열도 궐증도 그다지 심하지 않아 손끝만 차다. 그 환자가 가라앉는 기분이 들며 식욕이 없고 심번조요한 상황이다. 며칠 후 소변을 보는데 색이 맑다면 이는 리부의 열이 제거된 것이니 식욕이 돌아온다면 병이 곧 나을 것이다. 만약 궐증이 심해지고 구토 증상이 나타나는 동시에 흉협부에 번열감과 그득함이 있는 경우라면 얼마 후에 혈변을 보게 될 가능성이 있다. 사견 및 풀이 339조는 열궐(熱厥)이 가볍게 나타나는 경우를 보여줍니다. 발열과 궐증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으므로 열궐은 맞으나 그 정도가 경미합니다. 열사가 내부에서 뭉쳐있는 정도가 비교적 가.. 2017. 9. 4.
[상한론 송본 115] 구법(灸法)을 오용한 경우 115.脈浮熱甚, 而反灸之, 此爲實. 實以虛治, 因火而動, 必咽燥吐血. 해석 - 맥상이 부맥이면서 발열이 심한 환자에게 오히려 뜸으로 치료를 하였지만 이는 원래 실증이다. 실증인데 허증으로 보고 치료를 한 것이니 화기로 인해 음혈이 망동하여 외부로 넘쳐흘러 목구멍은 마르고 토혈을 하기까지 이른다. 사견 및 풀이 - 脈浮熱甚 부맥이면서 발열이 심하게 난다면 표부의 열이 발산되지 못하고 막혀있어 나타나는 표열울폐(表熱鬱閉)이거나 리부의 열이 외부로 나가기 위해 표부를 거쳐가는 과정에서 열이 나는 리열증등(裏熱蒸騰)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구법을 사용하였으니 잘못된 치료법이 되겠죠. 구법은 양기를 더 따뜻하게 하여 한사를 떨쳐내는 치료법으로 리허한증(裏虛寒證)이나 한습병증(寒濕病證)에 사용하는.. 2017.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