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백두옹탕2

[상한론 송본 373] 궐음열리(厥陰熱利)의 보충 설명 373.下利欲飮水者, 以有熱故也, 白頭翁湯主之. 해석 환자가 설사를 하면서 물을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부에 열사가 있기 때문이다. 백두옹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373조의 경우는 열리(熱利)에 대한 조문입니다. 단, 주의해야 할 것이 갈증은 열리에서만 나타나는 것인 아니라는 점입니다. 오히려 양허로 인한 설사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양허로 인해 하초의 수액 혹은 진액이 위로 상승되지 못하는 경우에 갈증이 나타납니다. 소음병에서 볼 수 있는 “自利而渴”은 이러한 경우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열리에는 대변에서 썩은 냄새가 나며 갈증이 나타난다면 차가운 음료를 마시고자 하고 소변의 색이 황색 심하면 적색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입니다. 반면 양허로 인한 하리에는 대변이 묽고 맑으며 갈증이 있더라도 .. 2017. 9. 11.
[상한론 송본 371] 궐음간경의 열사로 인해 발생하는 설사 371.熱利下重者, 白頭翁湯主之. 해석 열증의 설사를 하면서 복부 견인통과 후중감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백두옹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열리(熱利)는 열사가 대장을 아래로 압박해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그렇기에 설사의 냄새가 지독하고 항문에는 작열감이 발생하면서 소변의 색이 황적색인 양상을 보입니다. 그 외에도 입 안이 쓰고 건조하며 혀가 붉은색을 띠고 설태는 황색을, 맥상은 삭맥을 보이는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하중은 리급후중(裏急後重)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열(肝熱)이 지나쳐 상하로 기의 순환이 원활치 못해 기혈이 뭉치게 되고 불통즉통(不通卽痛)의 원칙에 의해 통증이 발생합니다. 백두옹탕은 간열을 식혀주고 막혀있고 경직된 간장을 풀어줍니다. 또한 하초에 있는 열사를 식혀주는 역할도 함께 합니다. 구.. 2017. 9.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