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화탕3

상한론 大塚敬節 소음병편 143 143. 少陰病, 二三日, 至四五日, 腹痛, 小便不利, 下利不止, 便膿血者, 桃花湯主之. 해석 少陰病을 앓은 지 2-3일에서 4-5일까지 경과한 뒤 배가 아프고 소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며 설사가 그치지 않는다. 대변에 농혈이 섞여 나오는 경우 桃花湯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143장은 142장의 내용을 보충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143장의 경우가 증상이 더욱 심한 것입니다. 裏寒으로 인한 설사 및 혈변이므로 복통을 동반합니다. 설사가 그치지 않고 지속되므로 진액의 손상이 있고, 그로 인해 소변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합니다. 즉, 裏寒으로 인한 농혈변에 桃花湯을 사용한다는 내용입니다.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2017/08/29 - [[상한론]/송본] - [상한론 송본 307-8] 소음허.. 2018. 1. 21.
상한론 大塚敬節 소음병편 142 142. 少陰病, 下利便膿血者, 桃花湯主之. 해석 少陰病 환자가 설사를 하면서 농혈변을 본다면 桃花湯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이 문장도 처방을 본 뒤 증상을 추측해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白頭翁湯에서도 설사를 목표로 하며 熱性의 설사에 사용합니다. 강도가 비교적 강한 설사에 사용하는 처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白頭翁湯과 桃花湯이 주로 비교되며, 桃花湯은 虛寒의 양상을 보이는 설사에 사용합니다. 결론적으로 혈액 혹은 농혈이 섞인 설사를 하는 환자가 虛寒證의 증상을 보인다면 桃花湯을 처방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적절할 것 같습니다. 상한론 송본 해당 조문 2017/08/28 - [[상한론]/송본] - [상한론 송본 306] 농혈변을 보는 소음병의 치료 ※ 참고서적 : 大塚敬節 저, 박병희 역(20.. 2018. 1. 20.
[상한론 송본 306] 농혈변을 보는 소음병의 치료 306.少陰病, 下利便膿血者, 桃花湯主之 해석 소음병 환자가 설사를 하고 대변에 농혈이 섞여 있다면 도화탕으로 치료한다. 사견 및 풀이 소음병에서 소음심경(少陰心經)의 양기가 부족해지면 오행 상생상극 원칙에 의해 화기(火氣)가 토기(土氣)를 따뜻하게 데워주지 못합니다. 이는 곧 중초에서 소화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설사가 발생하고, 설사가 멎지 않고 오래 지속된다면 진액 및 음혈의 손상으로 이어지며 결국은 혈분(血分)에 까지 영향을 줍니다. 그 영향으로 발생하는 증상이 농혈변입니다. 이러한 경우 현대의 이질성 장출혈과 양상이 유사합니다. 또한 한의학에서 혈변의 경우 한열(寒熱)에 따라 달라집니다. 306조의 경우는 양기가 손상을 받아 소화기능이 떨어져 발생한 설사로 진액 손상.. 2017. 8.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