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한론]/의문췌언 입문편

태양병 중편 040 - 오치 후 허실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8. 6. 20.
반응형

40.                 發汗後惡寒者, 虛故也, 不惡寒但熱者, 實也, 與調胃承氣湯.

 

 발한 혹은 다른 오치를 시행한 후 허증과 실증이 모두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허증은 정기가 부족한 것을, 실증은 사기가 충만한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기에 보통은 오치 후 사기는 풀렸지만 정기에 손상을 받은 경우를 허증으로, 사기가 풀리지 않았을 때는 실증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두 가지 경우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환자 파악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조위승기탕은 실증에 사용할 수 있는 대시호탕 등의 다른 처방들을 포괄하고 있다.

 지금은 실증이라는 것만을 알 수 있을 뿐 다른 조건이나 증상들을 거론하고 있지 않기에 처방을 결정할 수 없는 것입니다. 조위승기탕은 실증에 사용하는 처방에 대한 대명사로 쓰인 것이나 다름이 없으며 여타 증상에 따라 다양한 처방을 응용할 수 있습니다.

 

 40조의 허증인 경우에는 작약감초부자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38조를 참고하면 (아래 링크 참조) 이해하기 더 용이합니다.

 

 

오치가 허증만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 참고서적 : 권순종 (2009). 의문췌언 (입문편). 의방출판사.

- 개인적인 공부를 위한 기록입니다. 공식적이지 않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실과 다른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는 경우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관련 포스팅들 >

2017/10/01 - [[상한론]/大塚敬節] - 상한론 大塚敬節 태양병 중편 041

2017/06/29 - [[상한론]/송본] - [상한론 송본 70] 발한 후의 허실(虛實)

2018/06/06 - [[상한론]/의문췌언 입문편] - 태양병 중편 038 - 작약감초부자탕의 증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