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

비복근의 도우미, 족저근 (Plantaris)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8. 4. 13.
반응형

비복근 위에 작은 근육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근육은 작지만 건이 길어 무릎과 발목에 모두 기여하는 근육이기도 합니다.


비복근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작은 근육, 족저근(Plantari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rigin : plantaris - lateral supracondylar ridge of femur above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Insertion : plantaris - Achilles tendon (tendo calcaneus)

 

Function : plantaris - flexion of knee, plantar flexion of ankle

 

협력근 : plantar flexion of ankle joint - triceps surae, peroneus longus & brevis, flexor hallucis longus,

flexor digitorum longus, tibialis posterior, soleus

 

길항근 : dorsi flexion of ankle joint - tibialis anterior, extensor digitorum longus, peroneus tertius

 


족저근은 비복근 외측두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이 아래로 이어져 아킬레스건에 종지합니다.


비복근과 마찬가지로 슬관절과 족관절에 모두 관여하는 2 joint muscle에 해당합니다.


슬관절의 굴곡과 족관절의 족저굴곡이 주된 작용입니다.

 

 

 

미끄러지거나 균형을 잃는 경우, 만성적으로 족저근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 압통점이 생기기 쉽습니다.


바닥이 부드러운 신발을 신고 미끄러운 길을 보행하는 경우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발 뒤꿈치 중심으로 체중을 지탱하는 것이 어려워지며 족관절의 족배굴곡이 제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슬관절과 소퇴 후면부로 방사통이 존재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압통점 및 방사통 그림은 저작권 문제가 있어 링크로 대체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들어가보시면 그림 선명하게 잘 나와 있습니다.


http://www.triggerpoints.net/muscle/plantaris



족저근의 경우 문제가 있더라도 비복근과 겹쳐 있으므로 감별이 쉽지 않습니다.


또한 문제를 발견하여 침치료를 한다면 비복근의 외측두를 관통하여 시행해야 하며 신경, 정맥을 주의하여 자침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