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

만성 요통의 숨은 범인, 후하거근 (Serratus posterior inferior)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8. 2. 22.
반응형

평소에 높은 곳을 보고 일을 하시나요?

 

허리를 뒤로 젖히고 오랜 시간 자세를 유지하셔야 하나요?

 

그런 직업을 가지신 분들은 이번 포스팅을 보셔야 합니다.

 

만성적인 요통을 유발하는 후하거근(Serratus posterior inferi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rigin : spinous processes of T11 – L2

 

Insertion : inferior border of T9 – T12

 

Function : assist in expiration, extension of trunk, depression of ribs, rotation of trunk (unilateral)

 

협력근 : iliocostalis, longissimus thoracis, quadratus lumborum

 


후하거근은 하부흉추와 상부요추에서 양쪽으로 뻗어나와
하부 늑골 네 개를 향해 주행합니다.


이는 흉곽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호기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죠.


양쪽의 후하거근이 동시에 수축한다면 체간의 신전을 유발시킬 수 있고
한쪽의 후하거근이 수축한다면 척추의 대측 회전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흉요연접부가 과신전되는 자세로 일하는 직업인 경우 문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칠판에 판서를 하는 선생님이나 벽과 천장을 바라보고 일하는 도배사가 그 예입니다.


근육에 압통점이 생기거나 손상이 있더라도 통증 자체가 심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허리 혹은 근육이 위치한 부근의 요통이 있는데
다른 근육들에 문제가 없을 경우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몸을 비트는 동작을 하면 요통이나 방사통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압통점 및 방사통 그림은 저작권 문제가 있어 링크로 대체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들어가보시면 그림 선명하게 잘 나와 있습니다.

http://www.triggerpoints.net/muscle/serratus-posterior-inferior



호흡을 크게 하거나 기침을 할 경우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 것은
전거근, 요방형근과 반대이므로 통증의 원인을 구분하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후하거근에 문제가 있을 시, 그 외에도 흉요추의 굴곡과 신전이 약간 제한 되는 양상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늑골 쪽 부착부를 자침하여 근육을 풀어줄 수 있으며
습식 부항 치료에 반응이 좋은 경향이 있습니다 ^^

 

직업적으로 허리를 많이 사용하거나 평소에 운동을 하는 분들은
삐끗한 경우 요방형근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고


만성적인 통증이나 허리 근육을 너무 사용하지 않다가
삐끗한 경우에는 후하거근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니 참고하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