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

흉곽출구증후군의 복병, 소흉근 (Pectoralis minor)

by 한의사 대기만성 2018. 2. 15.
반응형

잠을 자려고 누웠는데 손이 저리면 잠이 잘 안옵니다.

 

특히 4, 5번째 손가락으로 저림이 나타나면

흉곽출구증후군을 의심해보아야 하는데요.

 

주 원인인 사각근이나 쇄골, 늑골 말고도 생각해야 할 근육이 또 있습니다.

 

저림이 나타날 때 팔을 머리 위로 들었을 때 증상이 더 심해진다면,

소흉근(Pectoralis minor)을 의심해보시기 바랍니다.

 

 

 

 

Origin : third to fifth ribs, near their costal cartilages

 

Insertion : medial border & superior surface of the coracoid process of the scapula

 

Function : fixation of the scapula by traction to anterior, inferior and medial

 

협력근 : inspiration - levator scapulae, upper trapezius, SCM, scalene
depression of shoulder, protrusion & downward rotation of the scapula - pectoralis major

 

길항근 : retraction of the scapula - rhomboides, lower trapezius
depression of shoulder - latissimus dorsi

 

 

 

소흉근은 대흉근의 속에 작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크기는 작지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요.


흉곽이 고정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견갑골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견갑골이 고정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흉곽의 호흡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소흉근은 심근경색증이 있거나 사각근의 압통점이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앉아있는 자세가 너무 둥글거나 불량해도 소흉근에 무리가 갑니다.


근육이 약해지면 견관절의 신전이 약해지거나 숨을 들이쉬는 것이 약간 힘들어집니다.


반대로 근육이 단축되거나 긴장감이 과도해지면 오구돌기가 전하방으로 당겨지고
Winging scapular가 초래되거나 견관절의 굴곡이 제한되기도 합니다.


소흉근의 압통점에 의한 통증은 대흉근의 통증과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방사통과 함께 수평외전의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척골신경이 지나는 통로에 위치하여 신경을 압박하게 되면 4, 5지에 감각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 사각근이 만들어내는 감각이상에서는

정맥의 압박이 같이 이루어지기도 하므로 부종이 나타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압통점 및 방사통 그림은 저작권 문제가 있어 링크로 대체합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들어가보시면 그림 선명하게 잘 나와 있습니다.

 

http://www.triggerpoints.net/muscle/pectoralis-minimus



소흉근에 긴장 및 단축이 발생한다면 견갑골이 전인되고 하방회전합니다.


그렇기에 견관절의 완전한 굴곡이 어렵고 외전 및 외회전의 동시동작도 제한됩니다.


견갑하근은 관절와상완관절(GH joint)에서만 제한을 일으키고
소흉근은 견갑골의 움직임만 제한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외전이 없이 외회전만 하는 경우는 제한이 없고, 동시동작만 제한되는 거죠.


또한 위에서 말한 신경포착이 있을 경우 Wright test에 양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Wright test : 요골동맥 촉지한 상태로 abduction & external rotation of shoulder joint를 수행하여 맥의 변화를 관찰합니다. 90도 abduction에서 증후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90도 이상인 경우 정상인에서도 압박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경포착에 의한 손저림 증상 및 흉곽출구증후군에서 팔을 들어올릴 때 편해지면

사각근의 문제일 가능성이, 더 심해지면 소흉근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압통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침치료를 시행하는 방법도 있고
MET 방법을 이용한 근육 이완법도 있습니다.


압통점의 위치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

반응형